10월, 2020의 게시물 표시

R 스튜디오 코드 라인 자동 줄 바꿈 설정

이미지
1. tools - global options 로 이동 2. 코드 자동 줄바꿈 설정 : Code - Editing - Soft-wrap R source files 체크

R스튜디오 한글 나오도록 utf-8 설정

이미지
R Studio 한글 설정 방법 : UTF-8  tools - global options Code - 상단 Saving - Default text encoding 을 UTF-8로 변경 데이터 분석 취업 이직

R Studio (R 스튜디오) 기본 경로 설정하기 - 디폴트 워킹 디렉토리

이미지
R 스튜디오 디폴트 워킹 디렉토리 설정 (Default Working Directory) tools - global options 로 이동 Appearance - Editor font size 에서 설정 Files 패널에 적용된다.

R Studio ( R 스튜디오) 글자 크기 변경

이미지
R 스튜디오에서 폰트 크기를 변경하거나 설정하는 방법 글자 크기 설정 : tools - global options Appearance - Editor font size 에서 설정

Python List - 리스트 만들기

이미지
  파이썬 리스트 ( Python List ) 파이썬 리스트 python list 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합니다. 파이썬 리스트에서 비어있는 리스트, 즉 아무것도 없는 리스트는 아래처럼 두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하는 방법 : [ ] lis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파이썬 리스트 만들면서, 데이터 바로 넣기  아래는 문자열 데이터 ( str ) 를 넣은 리스트와, 정수 데이터 ( int ) 를 넣은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이썬 리스트에 저장 가능 아래는 mixed datatypes , nested list ( 중첩 리스트 ) 를 생성하는 벙법이다.

파이썬 len, find, replace, conut 문자열 함수

이미지
  파이썬 문자열 바꾸기 replace() 함수 아래 예에서, 'z' 대신에 'q' 로 바꾼다. 또한 문자열을 바꿀 수도 있다. 'ijk' 를 ' hello '로 바꾼다.  이때, 원본 문자열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파이썬 문자열 길이 len() 함수 len() 함수를 사용하여 몇개의 문자로 되어있는지 문자열의 개수를 알 수 있다. len 함수를 이용해서 문자의 갯수를 파악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공백이 포함되어 있으면,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갯수를 센다. 따라서 ex_str 의 문자 앞과 뒤에 공백이 하나씩 있고, hello와 world 사이에도 공백이 있으므로, 총 13글자가 된다. 찾고자 하는 문자열의 위치를 찾는 파이썬 find() 함수, rfind() 함수 예제에서, qui 라는 문자열의 위치를 찾고자 한다. 위치란, 인덱스(오프셋)을 말한다. 따라서 year 가 몇번째에 있는지를 찾고자 한다.  이때 왼쪽부터 찾을때는 find() 함수를 사용하고, 오른쪽부터 찾을때는 rfind() 함수를 이용한다. 문자열에 없는 banana를 찾으라고 하면, -1 을 리턴한다. 해당 문자열이, 몇번이나 사용되었는지 갯수를 파악하기 파이썬 count() 함수 다음 예에서, count 함수 안에 문자열을 넣어주면, 해당 문자열이 몇번 사용되었는가 횟수를 리턴한다.

파이썬 문자열 콜론 사용법 - 문자열 슬라이싱

이미지
python 콜론 사용법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각각의 캐릭터(문자) 들의 시퀀스(순서)로 되어있다.  따라서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뽑아냄) 할 수 있다. 하나의 문자만 추출(뽑아내기)하기 하나의 문자만 추출하려면, 추출하려는 문자의 인덱스 숫자를 써준다. 인덱스는 항상 0 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아래 예에서 a 가 인덱스 0 이고, z 는 인덱스 25 다. 또한, z 는 역순으로 하여 인덱스가 -1 이 되므로, -1 로 적어되 된다. 그러면 y 는 -2, x 는 -3 이 된다. 원하는 부분을 추출(슬라이싱) 하기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슬라이싱) 하기 위해서는 인덱스의 숫자를 적어준다. 다음 예제를 보면, 콜론( : ) 앞과 뒤에 숫자를 써준다. 앞에 써주는 숫자는, 시작 인덱스를 나타낸다. 뒤에 써주는 숫자는,  그 숫자 - 1 의 인덱스까지 추출 해 오겠다는 뜻이다. 중요! 콜론 왼쪽 숫자 =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시작 인덱스  콜론 오른쪽에 써주는 숫자 =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끝 인덱스 + 1  위의 예에서는, letters[0:3] 이므로, 0번째 인덱스인 a 부터, 3-1 = 2 인덱스인 c 까지 추출한다. ( a는 인덱스 0,  b는 인덱스 1, c는 인덱스 2,  d는 인덱스 3, ... ) 아래 예제는, 건너뛰기까지 포함한 slicing 예제다. [:] 처음부터 끝까지 [start:] start오프셋부터 끝까지 [:end] 처음부터 end-1 오프셋까지  [start : end] start오프셋부터 end-1 오프셋까지 [start : end : step] step만큼 문자를 건너뛰면서, 위와 동일하게 추출

파이썬 upper, lower, title, split 문자열 자르기, 대문자, 소문자

이미지
파이썬 문자열 합치기, 자르기, 대문자, 소문자  더하기 연산 ( + 연산자 )  : 문자열 결합 + 연산자 (더하기 연산자) 를 사용하면, 문자열을 옆으로 붙이게 된다. 즉, 문자열을 결합시킨다. 두개의 문자열을 결합시키는 것도 되고, 여러개의 문자열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더하기 연산자를 이용해서 문자열을 붙일 때, 공백을 포함시켜서 결합시키려면, " " 공백 문자열을 중간에 넣어주면 된다. 대소문자 처리하는, upper() lower()  title() 함수 문자열을 대문자 로 바꿀 수 있는 upper() 문자열을 소문자 로 바꿀 수 있는 lower()  문자열을 단어 앞만 대문자로 바꿀 수 있는 title() 함수도 있다. 문자열을 쪼갤 수 있는 split() 함수 - 쪼갠 결과는 list 로 반환된다. 아래 예에서, 문자열을 공백( " " ) 으로 쪼갤수 있다. 즉, 문자열을 단어들로 분리해 낼 수 있다. split()  아래 예에서, 문자열을 특정 글자로도 쪼갤 수 있다. 't' 로 쪼개면, 3개의 단어로 분리된다. split('t') 아래 예에서, 문자열을 특정 문자열로도 쪼갤 수 있다. 'ch'로 쪼개면, 2개의 단어로 분리된다. split('ch')  아래 예에서, 이메일 주소가 있으면, @로 문자열을 분리해 낼 수 있다. split('@')  split() 함수를 통해 나온 결과는, 리스트로 반환된다.

Python String 파이썬 문자열 생성

이미지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다.  따라서 아래처럼 상황에 맞게 문자열을 만들면 된다. 문자들이 나열된 상태를 Strings 문자열 이라고 한다. 'Hello World' 처럼.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싱글퀏(작은따옴표 ' )  이나 더블퀏 (큰따옴표 " ) 로 양 끝을 감싸줘야 한다. 문자열의 type 은, str 이다.  문자열에 다음처럼 작은따옴표가 겹치면, 에러가 난다.  따라서 이때는 큰따옴표로 양끝을 감싸주면 에러가 나지 않는다.  문자열에 큰따옴표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이스케이프 캐릭터 \" 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도 있다. 3개의 단일 부호( 작은따옴표 3개, 또는 큰따옴표 3개 연속으로) 로 여러 줄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위의 예처럼 I said, "I'm your farther." 와 같은 문장도, 그냥 연속3개의 단일부호로 쉽게 문자열 만들 수 있다.

파이썬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입력 받기

이미지
 input() 함수는, 유저한테서 직접 입력을 받는다. 위에서, input 함수 안에, 원하는 문자열을 써주면,  화면에 출력되면서, 유저한테 입력을 받게 된다. 아래에서, "홍길동" 이라고 유저가 입력하면,  name 변수에는 "홍길동" 이 저장된다.  따라서 print 함수를 이용해서 화면에 name 을 출력하면, name에 홍길동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처럼, 문자열의 포맷팅 ( string formating )을 이용해서, 유저한테 입력을 받고, 화면에 출력을 할 수 있다. 숫자를 입력받는 경우는 주의하자! 다음처럼 숫자 두개를 입력받아서, 더하기를 하려고 한다. 3과 4를 입력하면, 7 이 나와야 한다. 하지만,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7 이 아니라,  3과 4가 옆에 붙어서 34로 나온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유저가 숫자를 입력하든, 문자를 입력하든, input() 함수는 전부 문자열로 처리를 하기 때문에 아래처럼 나온다. 아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해보면, 숫자 3이 아니라, 문자열 3이다. 숫자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바꿔주자! 형변환을 해주면 된다. 즉,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주도록, int() 함수나 float() 함수를 다음처럼 사용하면 된다.

파이썬 화면 출력 print 함수와 포맷팅

이미지
화면에 무엇인가를 출력하자! print() 함수는,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다 문자열(str) 을 변수 x, y 에 저장하고,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print() 함수를 사용했다. 프린트 함수 사용법은? 괄호 안에 변수나, 숫자, 문자열 등을 넣어주면, 화면에 출력한다. 문자열 formating  예)  ~~ 고객님, 안녕하세요? 위에서 처럼, 사람 이름만 바뀌고, 나머지 문장은 재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를 템플릿이라고 하고, 바뀌는 부분은 변수로 처리해 줄 수 있다. 아래에서, name 과 age 를 변수로 처리하고, 해당 값이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괄호 { } 안에,  숫자를 넣어주면, 뒷부분의 변수의 순서 인덱스대로 처리가 가능하다. age 가 0 번 이고, name 이 1 번 이기때문에, print("제 이름은 {0} 입니다. 나이는 {1} 살입니다.".format(age, name)) 의 결과는, "제 이름은 23 입니다. 나이는 홍길동 살입니다." 이며, 중과로 { } 안에 숫자를 바꿔서, 순서를 바꾸면, print("제 이름은 {1} 입니다. 나이는 {0} 살입니다.".format(age, name)) 의 결과는, "제 이름은 홍길동 입니다. 나이는 23 살입니다." 이렇게 된다.

파이썬 변수, Python Variables

이미지
 변수할당은 ( = ) 기호를 사용한다. 왼쪽이 변수의 이름이다. 변수의 이름은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다. 단, 맨 아래의 표에 나와있는 이름은 안된다. 오른쪽이 변수에 저장할 값이다. 따라서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은,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 라고 해석하면 된다. 위에서, a 와 b 와 c 라는 변수를 만들었고, 그 변수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한다. 변수의 이름은, 프로그래머가 마음대로 짓되, 아래의 규칙에 따라서 지어야 한다. 변수 이름(variable naming)은, 다른 사람이 봤을때도 이해가 되도록 가독성 있게 지어야 한다. 그래야 유지보수나 인수인계를 해도, 해당 코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변수의 시작은 영문자나 언더스코어(_)로만 시작해야 한다.:     - _salary     - salary_ - 변수의 시작 다음에는 숫자나 문자나 언더스코어등 아무거나 와도 상관없다.      - salary1     - salary2018x     - speed_kph - 변수명은, 같은 문자라도 대문자와소문자를 구별하므로, 다른변수로 취급한다.     - salary, SALARY      - salary, Salary     - salary, salarY   ...

파이썬의 연산, Python Operation 오퍼레이션

이미지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사칙연산 및 아래처럼 여러 연산이 가능하다. 모듈로 연산(modulo)은, 앞의 숫자를 뒤의 숫자로 나눴을때, 그 나머지를 나타낸다. 모듈로 연산자는 % 이다. 따라서 퍼센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11 % 3 은, 11을 3으로 나눴을때의 나머지를 구하라는 얘기이므로, 나머지가 2 이다. / / 연산은, 앞의 숫자를 뒤의 숫자로 나눴을때, 그 몫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연산이다. 아래에서 10 // 7 은, 10을 7로 나누면, 몫이 1이 나온다. ** 연산은, 앞의 숫자를 뒤의숫자만큼 거듭제곱 하라는 연산이다. 7 ** 4 는, 7의 4승을 하라는 말이므로, 2401이 된다.

파이썬 데이터 타입 Python data type

이미지
 파이썬은 다음처럼 3가지의 기본 데이터 타입이 있다. 문자열을 처리하는 str 정수를 처리하는 int 실수를 처리하는 float Python 은 위의 3가지 기본 데이터 타입(data type)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다.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 대입 연산자( = ) 을 이용해서 저장한다. a = 5 print(a) b = 10.8 print(b) c = 'hello' print(c) 타입(type)을 확인하는 방법 해당 변수에는 어떠한 데이터 타입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type() 함수를 이용해서 다음처럼 확인하면 된다. print(type(a)) print(type(b)) print(type(c))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int float str 이라고 값이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