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 실행법

이미지
1. 아나콘다가 설치가 되어있고 2. 크롬 브라우저가, 메인 브라우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1. 아래 윈도우 검색창에 "ana" 라고 입력하면 2. 왼쪽 상단에 "Anaconda Prompt (anaconda3) 라고 나오면, 이 앱을 클릭하여 실행한다. 3. 아래처럼 화면이 실행되면, 닫지 말고, 4번 설명대로 진행한다. 4. 깃허브(강의 사이트)로 이동하여, 코드를 다운로드 한다. 5. 압축파일을 문서 폴더에 푼다.   6. 압축을 푼 경로를 복사한다. 7. 위에서 실행한 "Anaconda Prompt" 에, 다음처럼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8. 엔터입력한 밑에, 다음처럼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한다. 9. 아래처럼 크롬 브라우저에서 열리면 끝!

R 스튜디오 코드 라인 자동 줄 바꿈 설정

이미지
1. tools - global options 로 이동 2. 코드 자동 줄바꿈 설정 : Code - Editing - Soft-wrap R source files 체크

R스튜디오 한글 나오도록 utf-8 설정

이미지
R Studio 한글 설정 방법 : UTF-8  tools - global options Code - 상단 Saving - Default text encoding 을 UTF-8로 변경 데이터 분석 취업 이직

R Studio (R 스튜디오) 기본 경로 설정하기 - 디폴트 워킹 디렉토리

이미지
R 스튜디오 디폴트 워킹 디렉토리 설정 (Default Working Directory) tools - global options 로 이동 Appearance - Editor font size 에서 설정 Files 패널에 적용된다.

R Studio ( R 스튜디오) 글자 크기 변경

이미지
R 스튜디오에서 폰트 크기를 변경하거나 설정하는 방법 글자 크기 설정 : tools - global options Appearance - Editor font size 에서 설정

Python List - 리스트 만들기

이미지
  파이썬 리스트 ( Python List ) 파이썬 리스트 python list 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합니다. 파이썬 리스트에서 비어있는 리스트, 즉 아무것도 없는 리스트는 아래처럼 두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하는 방법 : [ ] lis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파이썬 리스트 만들면서, 데이터 바로 넣기  아래는 문자열 데이터 ( str ) 를 넣은 리스트와, 정수 데이터 ( int ) 를 넣은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이썬 리스트에 저장 가능 아래는 mixed datatypes , nested list ( 중첩 리스트 ) 를 생성하는 벙법이다.

파이썬 len, find, replace, conut 문자열 함수

이미지
  파이썬 문자열 바꾸기 replace() 함수 아래 예에서, 'z' 대신에 'q' 로 바꾼다. 또한 문자열을 바꿀 수도 있다. 'ijk' 를 ' hello '로 바꾼다.  이때, 원본 문자열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파이썬 문자열 길이 len() 함수 len() 함수를 사용하여 몇개의 문자로 되어있는지 문자열의 개수를 알 수 있다. len 함수를 이용해서 문자의 갯수를 파악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공백이 포함되어 있으면,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갯수를 센다. 따라서 ex_str 의 문자 앞과 뒤에 공백이 하나씩 있고, hello와 world 사이에도 공백이 있으므로, 총 13글자가 된다. 찾고자 하는 문자열의 위치를 찾는 파이썬 find() 함수, rfind() 함수 예제에서, qui 라는 문자열의 위치를 찾고자 한다. 위치란, 인덱스(오프셋)을 말한다. 따라서 year 가 몇번째에 있는지를 찾고자 한다.  이때 왼쪽부터 찾을때는 find() 함수를 사용하고, 오른쪽부터 찾을때는 rfind() 함수를 이용한다. 문자열에 없는 banana를 찾으라고 하면, -1 을 리턴한다. 해당 문자열이, 몇번이나 사용되었는지 갯수를 파악하기 파이썬 count() 함수 다음 예에서, count 함수 안에 문자열을 넣어주면, 해당 문자열이 몇번 사용되었는가 횟수를 리턴한다.